본문 바로가기
IT일반

알림일까? 알람일까? 정확한? 사용법

by 바이트뉴클리어스.넷 2025. 11. 6.
반응형

항상 헷갈리지 않나요!? 알람과 알림.

 

앱 화면에서 "알람 설정"과 "알림 설정" 버튼을 동시에 본 적 있으신가요? 두 단어가 비슷하게 느껴져서 대충 넘어가기 쉽지만, 막상 서비스 기획을 하거나 UI 텍스트를 작성할 때는 고민이 됩니다.

 

실제로 국내 주요 앱들도 이 표현을 혼용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 역시 두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올바른 용어 사용으로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 차이, 5초 만에 정리하면

알람(Alarm) = 내가 설정한 시간에 울리는 것
알림(Notification) = 앱이 나한테 보내는 메시지

 

쉽게 말해, 알람은 "시계"고 알림은 "우편함"입니다.

 

알람: 시간을 기준으로 작동한다

알람은 사용자가 정해둔 시각이 되면 소리나 진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핵심은 시간 기반이라는 점입니다.

 

알람의 특징

  • 사용자가 직접 "몇 시 몇 분"을 설정
  • 정해진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실행
  • 반복 설정 가능 (매일, 평일만 등)

실제 사용 예시

  • "내일 아침 7시 알람 맞춰줘"
  • "알람이 울렸는데 못 들었어"
  • "스누즈 알람 5분 간격으로 설정"

iOS의 '시계' 앱, 안드로이드의 '알람' 메뉴가 대표적입니다. 약 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건강관리 앱에서도 "복약 알람"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알림: 이벤트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알림은 앱이나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보내는 메시지입니다. 사용자가 시간을 정하는 게 아니라,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알림의 특징

  • 앱이나 서비스에서 자동으로 발송
  • 새로운 정보나 상태 변화를 전달
  • 푸시 알림, 배너, 뱃지 등 다양한 형태

실제 사용 예시

  • "카카오톡 알림이 왔어요"
  • "앱 알림 권한 허용"
  • "이메일 알림 끄기"

배달의민족에서 "배달이 완료되었습니다"라고 뜨는 것, 인스타그램에서 "000님이 회원님의 게시물에 좋아요를 눌렀습니다"라고 뜨는 것이 모두 알림입니다.

 

헷갈리는 경계선: 일정 관리 앱

그렇다면 캘린더 앱의 "오후 3시 회의" 기능은 알람일까요, 알림일까요?

판단 기준은 간단합니다:

  • 사용자가 "3시에 울려줘"라고 시간을 직접 설정했다면 → 알람
  • 앱이 일정을 분석해서 "곧 회의 시간입니다"라고 자동으로 보낸다면알림

구글 캘린더를 예로 들면, 일정에 "30분 전 알림"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자는 시간을 직접 지정하지 않고, 일정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앱이 자동 계산해서 보내주기 때문에 "알림"이 맞습니다.

 

실무에서 자주 틀리는 표현들

❌ 틀린 표현

  • "카카오톡 알람 끄기" → ⭕ "카카오톡 알림 끄기"
  • "배송 완료 알람" → ⭕ "배송 완료 알림"
  • "7시 기상 알림" → ⭕ "7시 기상 알람"

✅ 올바른 예시

  • "매일 아침 7시 알람 설정"
  • "댓글 알림 받기"
  • "약 복용 알람"
  • "주문 상태 변경 알림"

 

한눈에 보는 비교표

구분 알람 (Alarm) 알림 (Notification)
영어 원어 Alarm Notification
작동 방식 시간 기반 이벤트 기반
설정 주체 사용자 앱/시스템
주요 용도 시간 알려주기, 깨우기 새 정보 전달
대표 예시 모닝콜, 타이머 메시지 도착, 업데이트 안내
관련 기능 반복 설정, 스누즈 푸시 알림, 뱃지, 배너

 

개발자와 기획자가 알아야 할 실무 팁

서비스를 만들 때 이 두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면 사용자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설정 메뉴 구조 예시:

⚙️ 설정
  ├─ 🔔 알림 설정
  │   ├─ 푸시 알림 받기
  │   ├─ 이메일 알림 받기
  │   └─ 알림음 선택
  │
  └─ ⏰ 알람 설정
      ├─ 기상 알람
      ├─ 복약 알람
      └─ 일정 알람

 

이렇게 메뉴를 구분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직관적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알람"과 "알림"을 자연스럽게 구분해주는 UI/UX는 서비스 만족도에 큰 영향을 줄겁니다.

 

반응형

 

마무리: 용어 하나로 달라지는 사용자 경험

비슷해 보이는 두 단어지만, 올바르게 사용하면 사용자가 기능을 훨씬 빠르게 이해합니다.

  • 시간을 내가 정한다 → 알람
  • 앱이 나한테 보낸다 → 알림

이 원칙만 기억하면 헷갈릴 일이 없습니다. 오늘부터 여러분의 서비스에도 정확한 용어를 적용해보세요.

사용자들이 한결 편하게 느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