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느낌이 이끄는 코드 – 바이브 코딩이란? 요즘 코딩 배우기 참 쉬워졌다고들 합니다. 문서도 많고, 유튜브 강의도 넘치고, GPT 같은 AI가 코드까지 짜줍니다. 하지만 여전히 시작이 막막하다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이걸 이렇게 써도 되는 걸까?”“틀린 코드 아닐까?”“이 패턴은 정석이 아닌데…”이런 고민 속에서 머뭇거리다가 결국 손을 못 대는 경우가 많죠. 그런데, 이 고민 자체를 없애주는 새로운 코딩 방식이 등장했습니다.바로, 안드레이 카르파티(Andrej Karpathy)가 2025년 2월에 처음 언급한 바이브 코딩(Vibe Coding)입니다. 🎧 바이브 코딩이란?카르파티는 X(구 트위터)에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습니다.“There’s a new kind of coding I call ‘vibe coding’, where.. 2025. 7. 10. 다빈치 리졸브 20의 새로운 기능 "AI 기능이 강화 되었군요." 다빈치 리졸브 20(DaVinci Resolve 20)은 2025년 4월에 발표된 최신 버전으로, AI 기반의 혁신적인 기능과 워크플로우 개선을 통해 영상 편집, 색보정, 오디오 후반 제작 등 다양한 작업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번 버전에서는 100개 이상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특히 AI 도구들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아래는 주요 기능에 대한 상세 설명입니다. 1. 키프레임 에디터 (Keyframe Editor)다빈치 리졸브 20에서는 컷(Cut) 및 편집(Edit) 페이지에 전용 키프레임 에디터가 추가되었습니다. 이 기능은 타임라인에서 직접 키프레임을 조정할 수 있는 커브 뷰와 타임라인 드로어를 제공하여, 애니메이션과 효과의 정밀한.. 2025. 5. 8. 버려지는 디자인 vs 통과되는 디자인, 그 차이는 무엇일까? 디자인을 하다 보면 “이건 멋진데 왜 통과되지 않을까?”, “왜 이건 바로 OK 받지?”라는 생각,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디자인의 결과물은 보기 좋다고 해서 무조건 통과되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보여지는 것'보다 '전달하는 힘'이 훨씬 중요하죠.오늘은 『버려지는 디자인 통과되는 디자인』 책을 참고하여, 실무에서 통과되는 디자인이 갖추고 있는 핵심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1. 문제 해결 능력이 핵심이다버려지는 디자인은 멋져 보이지만 왜 그렇게 했는지 설명이 부족합니다.예: "파란색이 예뻐서 썼어요"→ 설득력 부족통과되는 디자인은 문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디자인으로 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예시:“이 버튼은 고령자도 쉽게 보이도록 명도 대비를 조정했습니다.”2. 사용자 중심의 UX 설계통과되는 디.. 2025. 4. 8. 맥 벤투라 영어 대문자 자동끄기 방법 how to turn off automatic capitalization on Mac ventura.기존의 맥과 달리 UI가 변경되어서 찾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아래 이미지 보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System Setting -> Keyboard -> Text Input / Input Sources -> Edit Capitalize words automatically -> Off 2025. 4. 5. 검색엔진 최적화에 간과하기 쉬운 CLS를 해결하는 2가지 방법 검색엔진 최적화는 내돈내산(SEM)이 아닌 내노력 내실력(SEO)으로 상위에 랭크되게 하는 기술인데요. 각 플랫폼 별로 다양한 낭설과 실제 이론들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낭설로 alt를 이용한 꼼수, 이미지의 갯수에 따른 검색순위 조정등 여러 낭설이 있지만, 어떤 것은 맞고 어떤 것은 틀립니다. 오늘은 구글에서 검증되었으며, 공식적인 SEO 가이드에 있는 CLS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 확인검색엔진 최적화를 연구해본 사람은 구글 서치 콘솔을 다 아실겁니다. 아직 모르신다면, 구글 서치 엔진에 들어가서 본인의 사이트를 등록하고 살펴보세요. (필수중에 필수 입니다) 좌측 메뉴에 보면, "코어 웹 바이탈"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해당 스코어에 따라 검색엔진의 순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025. 3. 27. RAG 임베딩 모델과 LLM의 모델이 달라도 동작하는 이유. 궁금하죠? RAG이란?RAG는 '검색 보강 생성'으로 번역되며, AI 모델이 질문에 답할 때 관련된 정보를 외부 데이터베이스나 문서에서 검색(Retrieval)하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답변을 생성(Generation)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최근 GPT와 같은 대형언어모델(LLM)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래그' 라고 발음 합니다. 기존 언어모델이 매번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없기때문에 최신 정보를 벡터화해서 그 정보를 기반으로 AI의 답변을 보강하는 방식입니다.그런데, 생각해 보면, LLM도 임베딩을 하고, RAG를 위한 데이터도 임베딩을 해서, 같이 사용한다면, 같은 언어모델의 방식으로 임베딩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 다른 언어모델로 임베딩을 해도 동작을 합니다. 왜!? 일까요??결.. 2025. 3. 18. 이전 1 2 3 4 ··· 10 다음 반응형